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7453
7453번: 합이 0인 네 정수
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 (1 ≤ n ≤ 40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 줄에는 A, B, C, D에 포함되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서 주어진다.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의 절댓값은 최대 228이다.
www.acmicpc.net
어떤 배열 A,B,C,D가 주어질 때 각각의 배열에서 하나의 원소를 골라 네 수를 더했을 때 합이 0이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.
각각의 배열 사이즈는 최대 4000이고, 문제에서 주어진 시간은 12초이므로 O(N^2) 혹은 O(N^2 logN)의 시간 복잡도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. 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는데 기본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.
일단 배열 네 개의 원소를 하나씩 골라 합을 구하는 시간 복잡도는 O(N^4)이므로 배열을 두개 두개씩 묶어서 prefix sum 연산을 수행해서 두 개의 배열로 줄였다. 물론 여기서 다시 완전탐색을 돌리면 O(N^4)로 같은 결과가 나오지만 이분탐색을 이용하면 배열을 합치는데 O(N^2), 탐색에 O(N^2 log N^2)이 되므로 시간 내에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.
해쉬맵 자료구조를 사용 시 더 빠르게 문제 해결이 가능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해쉬맵 자료구조 사용 시 메모리 초과가 발생해 사용할 수 없다.
또 하나의 방법은 배열을 두 개씩 묶는 방법까지는 동일하고, 이후 투포인터로 푸는 방법이다. 이 방법의 경우 배열을 합치는데 O(N^2), 탐색에 O(N^2)이 소요되므로 이분탐색 방법보다 더 효율적인 풀이라고 할 수 있다.
먼저 이분탐색 코드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vector<int> prefix_cd;
int n;
int arr[4][4000];
void prefixsum() {
int x = 2, y = 3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prefix_cd.emplace_back(arr[x][i] + arr[y][j]);
}
}
}
long long solution() {
long long cnt = 0;
prefixsum();
//이분 탐색을 위한 정렬
sort(prefix_cd.begin(), prefix_cd.end());
int target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target = arr[0][i] + arr[1][j];
//이분탐색을 사용하는 upper_bound, lower_bound 내장 함수 사용
cnt += (upper_bound(prefix_cd.begin(), prefix_cd.end(), -target) - lower_bound(prefix_cd.begin(), prefix_cd.end(), -target));
}
}
return cnt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0), cin.tie(0), cout.tie(0);
cin >> n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4; j++) {
cin >> arr[j][i];
}
}
cout << solution();
return 0;
}
메모리: 100404 kb | 시간: 11488 ms |
다음은 투포인터 풀이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vector<int> prefix_ab;
vector<int> prefix_cd;
int n;
int arr[4][4000];
void prefixsum() {
int x = 0, y = 1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prefix_ab.emplace_back(arr[x][i] + arr[y][j]);
}
}
x = 2, y = 3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prefix_cd.emplace_back(arr[x][i] + arr[y][j]);
}
}
}
long long solution() {
long long cnt = 0;
long long same_lv, same_rv;
int lidx, ridx, lv, rv;
prefixsum();
//투포인터 사용을 위한 정렬
sort(prefix_ab.begin(), prefix_ab.end());
sort(prefix_cd.begin(), prefix_cd.end());
lidx = 0, ridx = prefix_cd.size() - 1;
while (lidx < prefix_ab.size() && ridx >= 0) {
rv = prefix_cd[ridx];
lv = prefix_ab[lidx];
if (rv + lv == 0) {
same_lv = 1, same_rv = 1;
//합이 0인 경우 두 배열에서 같은 값들의 개수의 곱을 cnt에 더해줌
while (++lidx < prefix_ab.size() && prefix_ab[lidx] == lv) ++same_lv;
while (--ridx >= 0 && prefix_cd[ridx] == rv) ++same_rv;
cnt += same_lv * same_rv;
}
else if (rv + lv > 0) --ridx;
else ++lidx;
}
return cnt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0), cin.tie(0), cout.tie(0);
cin >> n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4; j++) {
cin >> arr[j][i];
}
}
cout << solution();
return 0;
}
메모리: 166060 kb | 시간: 3056 ms |
시간을 보면 투포인터 풀이가 훨씬 효율적인 것을 알 수 있다.
'컴퓨터 사이언스 > 1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4442 : 벽 부수고 이동하기 2 (0) | 2021.07.25 |
---|---|
백준 1300 : K번째 수 (0) | 2021.07.25 |
백준 2805 : 나무 자르기 (0) | 2021.07.23 |
백준 17406 : 배열 돌리기 4 (0) | 2021.07.23 |
백준 16926 : 배열 돌리기 1 (0) | 2021.07.22 |